쓰기금지모드
Write Protect Mode
(2015-2016)

내비게이션에 평택 대추리를 목적지로 입력하고 두 시간쯤 차를 몰아 목적지에 도착했다. GPS가 가리키는 곳은 어두침침한 막다른 길이었다. 더 이상 영업을 하지 않는 불 꺼진 주유소에 차를 대고 한 손으로 검색을 시작했다. 구글은 내가 가야 할 곳이 대추리가 아니고 노와리라고 알려주었다. 대추리는 노와리에 있었다. 링크가 깨졌다. 404 not found.

대추리(사실은 노와리)에 도착했다. 첫 방문이었다. 우선 볼 일을 마치고 마을을 한 바퀴 돌았다. 낯설었다. 한 번도 본적 없는 마을이었다. 국가에 의해 강제 이주된 후 허락된 마지막 땅에서 마을 이름조차 버리지 못하는 그들은 어떤 풍경을 꿈꾸었던 걸까. 마을이라 하기에도 어색하고 전원이라 하기에도 민망한 집들이 겹겹이 쌓여 서로 미끄러지고 있었다.

평택 미군기지 건설로 새로 생긴 이주마을 세 곳 중 한 곳인 두릉이주단지 입구에는 작은 비가 서있다. “꿈에서도 잊지 못할 정든 고향을 조국의 품에 안겨준 후 이곳 평택시 고덕면 두릉3리에 택지를 조성하고 이주, 정착하기까지 온갖 수고를 아끼지 않고 애쓰신 분들의 노고에 감사함을 표하며 본 공적비를 건립합니다.” 집만 미끄러지고 있는 건 아니었다.

전국의 이주마을들을 조사하고 돌아다니기 시작했다. 댐 건설, 핵발전소, 재개발, 군사기지 등등 강제 이주의 이유는 다양했다. 하지만 마을의 모양새는 이상하리만큼 동일했다. 사진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이 시각적 동질성은 어디서 왔을까. 그림 같은 집 따위의 수많은 이미지들이 머리를 스친다. 사진은 세상을 복제하고 세상은 사진을 복제한다. 의심이 짙어진다.

이곳저곳 제한된 공간과 시간, 그리고 자본 안에서 강제된 파라다이스가 복제되고 있다. 복제는 늘 열화를 동반하고 열화는 늘 오류를 생산한다. 하지만 더 이상 복제는 인지되지 않으며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란 열화의 풍경 앞에 서서 복제의 사이사이 생겨난 오류의 순간들을 잠시 발견하는 것뿐이다.

올해 초 새로 산 하드디스크에 기존 사진 파일들을 복사해 오고 있었다. 한 시간쯤 복사를 했을까. 갑자기 복사가 중단되었고 맥북 화면에 작은 경고 창이 하나 나타났다. “하드에 오류가 발생하여 쓰기금지모드로 전환되었습니다” 확인해 보니 몇 개의 파일이 사라졌고 몇 개의 폴더는 링크가 깨졌다. 그래도 여기서 멈출 수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I entered Pyeongtaek Daechuri into the navigation system, drove for about two hours, and arrived at my destination. The GPS led me to a dark dead-end street. I parked the car at a closed, unlit gas station and started searching on my phone. Google told me that the place I needed to go wasn’t Daechuri, but Nowari. Daechuri was Nowari. The link was broken. 404 not found.

I arrived at Daechuri (which is actually Nowari). It was my first visit. After finishing my initial tasks, I took a walk around the village. It felt unfamiliar—a village I had never seen before. What kind of landscape did the people, forcibly relocated by the state and unable to abandon the name of their original village, dream of as they settled on this final piece of permitted land? The houses, awkwardly stacked and slipping past one another, felt too haphazard to call a village and too shabby to call a rural haven.

At the entrance to the Durung Relocation Complex, one of three newly established relocation villages creat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Pyeongtaek U.S. military base, stands a small memorial stone. The inscription reads:
*"In gratitude to those who spared no effort in creating and establishing this residential area in Durung 3-ri, Goduk-myeon, Pyeongtaek City, after offering up their beloved hometowns, which they cannot forget even in their dreams, to the embrace of their homeland, we erect this memorial to honor their contributions."*
It wasn’t just the houses that were slipping away.

I began investigating and traveling to relocation villages across the country. The reasons for forced relocation varied—dam construction, nuclear power plants, redevelopment, military bases—but the appearance of these villages was strangely uniform. I began to doubt the photographs. Where did this visual homogeneity come from? Images of picturesque houses and other such imagery flashed through my mind. Photography replicates the world, and the world replicates photography. My suspicions deepened.

In constrained spaces, under limited time and resources, forced paradises are being replicated here and there. Replication always brings with it degradation, and degradation always produces errors. Yet these replications are no longer recognized as such, and all we can do is stand before these degraded landscapes and momentarily discover the errors that emerge in the gaps between replications.

Earlier this year, I was copying my existing photo files onto a newly purchased hard drive. About an hour into the transfer, the process suddenly stopped, and a small warning message appeared on my MacBook screen: "An error occurred on the hard drive, and it has switched to read-only mode." I checked and found that some files had disappeared, and a few folders had broken links. Still, I suddenly felt a strange sense of relief that it was at least possible to stop here.

평택, 노와리 / Pyeongtaek, Nowa-ri / 2016
평택, 노와리 / Pyeongtaek, Nowa-ri / 2015
영주, 신평마을 / Youngju, Sinpyeong village / 2016
진천, 신평마을 / Jincheon, Sinpyeong village / 2016
평택, 노와리 / Pyeongtaek, Nowa-ri / 2016
부산, 동선마을 / Busan, Dongseon village / 2016
부산, 동선마을 / Busan, Dongseon village / 2016
임실, 상운마을 / Imsil, Sangun village / 2016
평택, 두릉3리 / Pyeongtaek, Dureung 3-ri / 2015
부산, 동선마을 / Busan, Dongseon village / 2016
거제, 와현마을 / Geoje, Wahyeon village / 2016
부산, 동선마을 / Busan, Dongseon village / 2016
부산, 강서마을 / Busan, Gangseo village / 2016
아산, 지중해마을 / Asan, Blue Crystal village / 2016
부산, 동선마을 / Busan, Dongseon village / 2016
아산, 혁신도시 / Asan, Innovation City / 2016
부산, 강서마을 / Busan, Gangseo village / 2016
평택, 노와리 / Pyeongtaek, Nowa-ri / 2015
평택, 노와리 / Pyeongtaek, Nowa-ri / 2016
아산, 지중해마을 / Asan, Blue Crystal village / 2016
평택, 노와리 / Pyeongtaek, Nowa-ri / 2016
파주, 법흥리 / Paju, Beobheung-ri / 2016
파주, 법흥리 / Paju, Beobheung-ri / 2016
부산, 동선마을 / Busan, Dongseon village / 2016
거창, 성산마을 / Geochang, Seongsan village / 2016
영주, 신평마을 / Youngju, Sinpyeong village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