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나라
Land of Happiness
(2016)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16년 5월 10일 ~ 2016년 7월 6일

서울시립미술관(관장 김홍희)은 신록이 우거지는 계절이자 대한민국 민주화의 상징인 오월을 맞이하여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에서 정치사회 변혁기에 미술을 소통과 저항의 매체로 사용하여 현실사회에 유의미한 족적을 남긴 동시대 예술가의 대규모 그룹전을 개최한다.

연간전시 기자간담회의 세마9경 가운데 4경으로 꼽히는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전시는 1980년대 정치 사회 변혁기에 일어난 아방가르드 미술운동인 ‘민중미술’을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동시대 사회의 시의적 주제를 중심으로 재조명하고, 이와 함께 예술의 실험성과 저항정신을 지닌 동시대 작가의 작품을 주목함으로써 세대를 관통하는 아방가르드적 예술의 태도를 통해 삶의 미술, 참여의 미술, 소통의 미술, 저항의 미술, 정치적 미술, 통칭하여 이 전시 제목이 일컫는 “사회 속 미술”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번 전시는 김정헌, 민정기, 박불똥, 손장섭, 이종구, 임옥상 등 민중미술 1세대로 분류되는 작가들과 함께 박이소, 박찬경, 최정화, 배영환 등과 같이 90년대 민중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첨예한 대립 속에서 각자의 방식과 태도로 작업 활동을 이어온 작가들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김동원, 믹스라이스, 플라잉시티, 리슨투더시티, 노순택, 홍진훤 등 도시개발과 노동문제에 따른 부조리한 사회현실을 고발하고 지속적으로 현장 참여적 예술 활동을 선보인 작가들을 통해 80년대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건설개발 중심의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자리를 마련하였다. 뿐만 아니라 주재환, 홍성민, 양아치, 사사 등 후기자본주의의 사회적 징후와 한국적 맥락의 포스트모더니즘 및 그 이후의 시대를 ‘부조리의 미학’으로 드러내는 작가들을 통해 90년대 이후 오늘날까지 미술에 대한 논의를 다채롭게 만들었던 현상을 선보인다.

시대와 세대의 차이, 각기 구사하는 매체와 양식의 차이가 드러내듯 참여 작가들은 매우 다양하고 상이한 작업들을 선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세히 살펴보면 이들의 작업은 사회적 개입, 비판적 발언, 대안적 제안을 통해 미술이 전 지구적 차원의 공생의 길을 모색할 수 있다는 희망적 공감대를 시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이 다소 역설적으로 느껴지는“행복의 나라”라는 전시 제목이 함의하는 궁극적 지점일 것이다.

[1부 역사는 반복된다]
정치적 부조리함과 분단현실, 그리고 자본주의 병폐의 역사를 기억하는 개인의 내면을 통해 사회현실을 비판하고 ‘기억’이라는 내밀하지만 보편적인 장치를 통해 회복의 염원을 드러내고, 특히 ‘기억의 정치학’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인식을 고취하며 동시대 현상을 통찰한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구성.

참여작가
- 손장섭, 정동석, 이명복, 최진욱
- 김정헌, 이종구, 황재형, 신학철, 임옥상
- 최민화, 홍성담, 박불똥, 함경아
- 박찬경, 임흥순, 송상희, 노재운, 조해준, 조습, 최원준, 옥인콜렉티브, 김지평

[2부 이면의 도시]
건설개발 중심의 급속한 근대화로 인해 발생한 도시의 어두운 이면과 모순된 현실들을 비판함과 동시에 여성과 노동자 등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인 약자들의 현실을 예술의 화두로 내세우는 ‘이면의 도시’를 주제로 함으로써 반복되는 역사의 기시감을 느낄수 있게 하는 작품으로 구성.

참여작가
김경인, 김인순, 정정엽, 김동원, 강상훈, 플라잉시티, 믹스라이스, 리슨투더시티, 노순택, 홍진훤

[3부 행복의 나라로]
일상의 매체와 미디어 이미지의 범람으로 변화된 문화지형 속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일상을 구현하는 작품들과 후기자본주의의 사회적 징후를 ‘부조리의 미학’으로 나타내는 작품으로 구성.

참여작가
- 오윤, 주재환, 안규철, 박이소, 강홍구, 최정화, 황세준, 홍성민, 고승욱, 박찬경,배영환, 양아치, 김상돈,Sasa[44], 정윤석
- 윤석남, 정정엽, 김정헌, 신학철, 손기환, 안창홍, 서용선, 민정기, 공성훈,오원배
주최: 서울시립미술관

담당 큐레이터: 신은진 (학예과)

전경 촬영: 조재무